본문 바로가기

반도체 역사2

[최리노] 최리노의 한 권으로 끝내는 반도체 이야기 (2) - 반도체 역사 19세기 말, 유럽에서는 막스 플랑크, 닐스 보어, 퀴리 부부, 아인슈타인 등 천재적인 학자들에 의해 물리, 화학 등 기초 과학의 발전이 이루어졌다면, 미국에서는 토머스 에디슨 등에 의해 공학적 발전이 이루어졌다. 전기 신호를 유선으로 다른 위치로 보내는 전신(Telegraph / 電信)이나, 축음기, 전구, 발전소 건설 등 수많은 발명품과 전기 산업을 만들었다. 전신이 발전할 수록 사람의 목소리를 원거리로 송수신 하는 전화기의 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. 우리가 잘 알고있는 전화기의 개발자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은 원래 청각 장애인에게 발성법을 가르치는 선생님이었다..! 선생님으로서 충분히 안정적인 삶을 살 수 있었지만, 전화기 개발에 전념하고자 선생님을 그만두었다고 한다. 결국 1876년 전화기의 특.. 2024. 4. 7.
[최리노] 최리노의 한권으로 끝내는 반도체 이야기 (0) 나는 학부에 소재공학을 전공했고, 대학원에서 광학 분석을 연구 주제로 공부하고 있다. 공대 + 소재 전공이기에 반도체 수업도 들어봤고 심지어 박사과정 연구로는 차세대 반도체 소재의 광학 분석을 전문으로 연구하고 있다. 하지만!! 사실 나는 반도체를 잘 모른다ㅋㅋㅋ (?) 겸손이 아니라 진짜 아주 기본적인 개념을 제외하고는 깊게 아는 것이 없다.. 이런 창피한 얘기는 주변 사람들한테 얘기 안한다.. 이 블로그는 아마 나를 아는 사람들은 읽지 않으니, 나를 솔직하게 다 표현할 수 있는 나만의 소통 창구니까 실컷 내 부끄러움을 얘기할 수 있다 :3 수학과 과학에 흥미가 있어 이과를 지원했고, 적당히 성적에 맞춰 공대를 지원했고, 현역을 가기 싫어 대학원을 선택했고, 연구 욕심 보다는 타이틀에 대한 성취, 취업.. 2024. 4. 7.